본문 바로가기

Elasticsearch

(2)
Elasticsearch에서 대용량 인덱스를 관리하는 방법(with. Index template)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해야하는 경우 보통 rolling 방식을 통해 index를 나누어서 관리한다. rolling은 날짜별로 혹은 설정된 용량에 도달했을 경우 ES에서 자동으로 저장된 index를 보관하고 새로운 index를 생성하여 해당 index에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index가 rolling되면 특정 주기를 기준으로 새로운 index가 생성될텐데, index 생성 시에는 mapping과 settings를 설정해야한다. template을 생성하면 특정 패턴의 인덱스가 생성될 때, 지정된 설정이 자동으로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rolling이 되면 인덱스가 여러개 생성될텐데, 이러한 모든 인덱스를 하나의 인덱스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template을 생성할 때, alias(별칭)를 설..
검색엔진을 사용하는 이유 검색엔진 사용 이유 정보화 시대에서 우리는 방대한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무리 데이터가 많아도 나에게 맞는 데이터를 얻기 위해서는 '검색'이라는 기능이 필요합니다. 그럼 DB에 데이터를 모두 저장한 후 LIKE 검색을 진행하면 될까요? 그렇게 검색을 진행한다면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검색 속도가 매~우 느려질 것입니다. 그래서 보통 검색을 하기 위해서는 따로 '색인'이라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색인'이란 데이터가 검색될 수 있는 구조로 변경하기 위해서 원본 문서를 검색어 토큰들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일련의 과정입니다. 색인이 완료되면 '인덱스'라는 색인 과정을 마친 결과물이 생성되며, 해당 인덱스에 검색을 진행하게 됩니다. Elasticsearch " Elasticsearch는 시간이 갈수..